티스토리 뷰

나만의 경제 지식

너 'EV/EBITDA'가 뭔지도 모르지?

오늘의 생활꿀팁 2025. 6. 5. 21:59

안녕하세요! 나만의 경제 지식입니다.
잠깐 개인적인 말을 하자면 이 글은 경제 관련 책을 읽고 제가 기억하고 싶은 부분을 요약해서 올리는 겁니다.
그러니 이상하면 언제나 조언해 주시면 좋겠습니다.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. 🙇🏻‍♀️🙇🏻‍♀️🙇🏻‍♀️

저번 글에는 주식 용어 PE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
2025.06.01 - [나만의 경제 지식] - 너 PER이 뭔지도 모르지??

 

너 PER이 뭔지도 모르지??

안녕하세요! 나만의 경제 지식입니다.잠깐 개인적인 말을 하자면 이 글은 경제 관련 책을 읽고 제가 기억하고 싶은 부분을 요약해서 올리는 겁니다.그러니 이상하면 언제나 조언해 주시면 좋겠

1.goodday3131.co.kr

 

오늘은 주식 용어 EV/EBITDA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.




수익성 지표 2) EV/EBITDA : 이 회사를 사려면 얼마나 몇 년 치 이익이 필요한지?

   기업가치      
EV⤴️/EBITDA⤵️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상각 전 영업이익

EV(Enterprise Value) : 이 회사를 통째로 사려면 얼마💲드는지 생각
시가총액 + 순차입금 = 시가총액 + 부채 - 현금 = 기업의 순 가치 


한마디로 이 기업을 인수하기 위해 필요한 금액
 

EBITDA (Earning before Interest, Taxes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)
원문 그대로 읽으면 ▶️ ‘ 이자, 세금, 감가상각 차감 전 영업이익 



이 회사가 간단하게 1년에 순수하게 버는 돈(💲)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것!

즉, 영업이익에 기업의 대표적인 비현금성 비용인 건물⏺시설 및 무형자산 등에 대한 감가상각비 더하기


영업이익 + 유무형 감가상각비 = 세금을 포함한 영업이익 

한마디로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 

 


 PER vs EV/EBITDA

PER은 유용하지만, 거기엔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.
기업의 자산이 고려되어 있지 않고, 감가상각 등 실제 현금으로 들어오는 이익과 장부상 이익의 차이에 반응하지 못하는 등의 결함이 있기 때문입니다.

특히 실제 이익과 장부상 이익의 차이는 기업마다 감가상각의 규모와 방식이 다르기 때문에, 이를 보완할 수 있는 지표가 EV/EBITDA입니다.

이런 맥락과 함께 초기 투자 비용이 많이 드는 경우 PER보다는 EV/EBITDA로 평가하는 것이 보다 합리적입니다.

 

🧑🏻‍🏫오늘의 투자 교실 🧑🏻‍🏫

 

'주식 거래 시간' 에 대해 알아보아요

  • 정규시장: 오전 9시 ~ 오후 3시 30분 
  • 장전 시간외: 오전 8시 30분 ~ 8시 40분 (전일 종가로 거래) 
  • 장후 시간외: 오후 3시 40분 ~ 4시 00분 (당일 종가로 거래) 
     
  • 시간외 단일가: 오후 4시 00분 ~ 6시 00분 (당일 종가 ±10% 가격으로 거래)
  • 동시호가: 오전 8시 30분 ~ 9시 00분, 오후 3시 20분 ~ 3시 30분  
     

다음 시간에는 PBR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 봐주셔서 감사합니다.

댓글